맨위로가기

제안 황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안 황씨는 황해도 황주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시조 황을구는 고려 시대에 소윤과 이조참의를 역임하고 조선 태조 때 제안군에 봉해졌다. 황석기의 5세손이라는 주장도 있으나, 척준경의 처 황씨가 제안군대부인이었다는 기록이 있어 황석기 이전에도 제안 황씨가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조선 시대에는 문과 1명, 무과 2명, 사마시 14명의 급제자를 배출했다. 2015년에는 3,098명이 제안 황씨로 등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안 황씨 - 황태순
    황태순은 대한민국의 정치인, 정치평론가로, 여러 정당에서 당직을 맡고 무소속 국회의원 보좌관을 역임했으나 잦은 당적 변경으로 기회주의적이라는 비판을 받는다.
  • 제안 황씨 - 황순원
    황순원은 일제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시인으로, 시로 등단 후 소설로 전향하여 단편 〈소나기〉, 장편 《카인의 후예》 등을 통해 한국인의 삶과 정신, 전통적 가치를 탐구했으며, 간결하고 시적인 문체, 설화적 분위기, 순수성과 동심을 통한 인간 본성 탐구가 특징이다.
제안 황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가명제안 황씨
한자 표기齊安黃氏
관향황해북도 황주군
창성 시기불명
시조(황을구)
주요 인물황순원
황동규
황장엽
역사적 배경
시조(황을구)
고려 개국공신황을구는 고려 개국에 공을 세워 (공신)에 책록됨
분파제안 황씨는 (황을구)를 시조로 한다
주요 거주지평안남도 대동군
황해도 벽성군
인구 통계
2015년 인구3,098명
관련 웹사이트
황씨종친회황씨종친회 웹사이트

2. 역사

제안 황씨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걸쳐 여러 인물을 배출한 성씨이다. 고려사에 따르면, 1126년(고려 인종 4년) 척준경의 처 황씨가 제안군대부인(齊安郡大夫人)에 봉해졌다는 기록이 있고,[5] 황주 황씨 황주량은 1004년(고려 목종 7년) 과거에 장원 급제하여 1043년(고려 정종 9년) 수태보 겸 문하시중 판상서이부사에 올랐다고 기록되어 있다.[5]

2. 1. 시조 및 기원

시조 '''황을구'''(黃乙耉)는 고려 시대에 소윤(少尹)과 이조참의(吏曹參議)를 지냈고, 조선 태조 때 제안군(齊安君)에 봉해졌다고 한다.

창원 황씨 공희공파 파조인 황석기(黃石奇, ? ~ 1364년)의 5세손이라는 주장도 있으나, 고려사척준경(拓俊京)의 처 황씨(黃氏)가 1126년 제안군대부인(齊安郡大夫人)이 되었다고 기록되어 있어 황석기 이전에도 토착 제안 황씨가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고려사 열전에는 황주 황씨(黃州 黃氏) '''황주량'''(黃周亮)이 1004년(고려 목종 7년) 과거에 장원 급제하여 1034년(고려 덕종 3년) 정당문학(政堂文學)에 임명되고, 참지정사(參知政事)·문하시랑평장(門下侍郎平章事)을 역임하였으며, 1043년(고려 정종 9년) 추충진절문덕광국공신(推忠盡節文德匡國功臣)으로 수태보 겸 문하시중 판상서이부사에 올랐다고 기록되어 있다.[5]

2. 2. 고려 시대

시조 '''황을구'''(黃乙耉)는 고려 시대에 소윤(少尹)과 이조참의(吏曹參議)를 지냈고, 조선 태조 때 제안군(齊安君)에 봉해졌다고 한다.

창원 황씨 공희공파 파조인 황석기(黃石奇, ? ~ 1364년)의 5세손이라는 주장도 있으나, 척준경(拓俊京)의 처 황씨(黃氏)가 1126년 제안군대부인(齊安郡大夫人)이 되었다는 《고려사》 기록이 있어, 황석기 이전에도 토착 제안 황씨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고려사》 열전에는 황주 황씨(黃州 黃氏) '''황주량'''(黃周亮)이 1004년(고려 목종 7년) 과거에 장원 급제하여 1034년(덕종 3) 정당문학(政堂文學)에 임명되고, 참지정사(參知政事)·문하시랑평장(門下侍郎平章事)을 역임하였으며, 1043년(정종 9) 추충진절문덕광국공신(推忠盡節文德匡國功臣)으로 수태보 겸문하시중 판상서이부사에 올랐다고 기록되어 있다.[5]

2. 3. 조선 시대

제안 황씨는 조선시대에 문과 급제자 1명, 무과 급제자 2명, 사마시 14명을 배출하였다.[1]

문과무과생원시진사시
황일룡(黃一龍)[1]황봉조(黃鳳祚)[1]황기동(黃起東)[1]황기동(黃起東)[1]
황정필(黃廷弼)[1]황기로(黃起魯)[1]황기붕(黃起鵬)[1]
황대순(黃戴舜)[1]황기욱(黃起頊)[1]
황종렬(黃鍾烈)[1]황상규(黃商圭)[1]
황풍조(黃豊祖)[1]황석룡(黃錫龍)[1]
황원갑(黃元甲)[1]
황임(黃淋)[1]
황종덕(黃鍾悳)[1]
황태용(黃泰鏞)[1]


3. 본관

제안(齊安)은 황해도 황주의 별호이다. 고구려 때는 동홀(冬忽)이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취성군(取城郡)으로 개칭되었고, 고려 초에 황주(黃州)라 하였다. 983년(성종 2) 목을 두었고, 993년(성종 12) 절도사를 두었으며 천덕군(天德郡)이라 하여 관내(關內)에 속하였다. 1012년(현종 3) 안무사(按撫使)를 두었다가 다시 목으로 고쳐 서해도(西海道)에 속하였으며, 1217년(고종 4)에 지고령군(知固寧郡)으로 강등되었다가 후에 다시 황주목으로 환원되었다. 1269년(원종 10) 원나라의 동녕부(東寧府)에 속하고 1290년 서부면에 이관되었으며 공민왕 때 다시 서해도에 이관되었다.[6]

세종실록지리지에 황해도 황주목의 토성(土姓)으로 윤(尹)·김(金)·백(白)·지(池)·노(盧)·동(董)·단(段)·황(黃)·최(崔)·석(石)·황보(皇甫) 11성이 기록되어 있다.[6] 1895년(고종 32) 황주군이 되었다.

4. 인물

5. 인구

연도인구
1985년2,752명
2015년3,098명


참조

[1] 서적 Academy of Korean Studies 제안황씨 齊安黃氏 http://terms.naver.c[...] Academy of Korean Studies
[2] 논문 A Comparison of the Korean and Japanese Approaches to Foreign Family Names http://www.sciea.org[...] 2014
[3]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28
[4] 웹사이트 황씨종친회 http://www.hwang.or.[...] 2022-09-04
[5] 문서 『高麗史』 卷 九十五, 列傳 八 https://terms.naver.[...]
[6] 문서 세종실록 152권, 지리지 황해도 황주목 http://sillok.hist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